본문 바로가기
엑셀

엑셀 저장하지 않고 닫은 파일을 복원하는 방법

by 배우고또배우고 2025. 2. 7.
반응형

엑셀에서 작업 중 실수로 저장하지 않고 파일을 닫아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다행히도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은 자동 복구 기능을 제공하여 저장되지 않은 파일을 복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엑셀에서 저장하지 않고 닫은 파일을 복원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1. 엑셀 자동 복구(AutoRecover) 기능 활용

자동 복구 기능이란?

엑셀은 일정 간격마다 작업 내용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자동 복구(AutoRecover)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본적으로 10분 간격으로 저장되며, 엑셀이 갑자기 종료되거나 저장하지 않고 닫은 경우에도 복구할 수 있습니다.

자동 복구된 파일 찾는 방법

  1. 엑셀을 다시 실행합니다.
  2. "문서 복구(Document Recovery)" 창이 나타나는지 확인합니다.
  3. 최근 자동 저장된 파일이 목록에 표시됩니다.
  4. 복구하려는 파일을 클릭하여 엽니다.
  5. 반드시 **"다른 이름으로 저장(Save As)"**을 선택하여 파일을 저장합니다.

만약 문서 복구 창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다음 방법을 시도하세요.

 

2. 자동 복구 파일 수동으로 찾기

엑셀은 자동 복구 파일을 특정 폴더에 저장합니다. 저장된 위치를 직접 찾아서 복구할 수도 있습니다.

자동 복구 파일 찾는 방법

  1. 엑셀을 엽니다.
  2. **"파일" → "옵션"**을 클릭합니다.
  3. "저장" 메뉴에서 **"자동 복구 파일 위치"**를 확인합니다.
  4. 해당 폴더를 Windows 탐색기에서 직접 검색하여 파일을 찾습니다.
  5. 확장자가 .xlsb 또는 .xls인 파일을 엽니다.
  6. 다시 저장하여 데이터를 보존합니다.

기본적인 자동 복구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면, 향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 복구 간격 설정 변경 방법

  1. 엑셀에서 **"파일" → "옵션"**을 엽니다.
  2. "저장" 탭을 클릭합니다.
  3.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을 기본 10분에서 1~2분으로 조정합니다.
  4. "저장하지 않고 닫은 경우 마지막 자동 복구된 버전 유지" 옵션을 체크합니다.
  5. **"확인"**을 눌러 설정을 저장합니다.

 

3. 임시 파일을 이용하여 복원하는 방법

엑셀은 작업 중 임시 파일을 생성합니다. 실수로 저장하지 않고 종료했을 경우, 이 파일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엑셀 임시 파일 찾는 방법

  1. Windows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2. %temp% 입력 후 엔터를 눌러 임시 폴더를 엽니다.
  3. 파일 목록에서 ~.xls, ~.xlsx, Excel 등의 이름이 포함된 파일을 찾습니다.
  4. 해당 파일을 엑셀에서 열어 확인합니다.
  5. 정상적으로 복구되었다면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이용하여 저장합니다.

 

4. 이전 버전 복원을 활용하는 방법

Windows의 파일 히스토리 및 복원 기능을 사용하면 이전 버전의 엑셀 파일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이전 버전 복원 방법

  1. 복구하려는 파일이 저장된 폴더로 이동합니다.
  2. 해당 파일을 우클릭하고 **"이전 버전 복원"**을 선택합니다.
  3. 목록에서 원하는 날짜의 파일을 선택하고 **"복원"**을 클릭합니다.

이 방법은 자동 저장이나 임시 파일보다 더 확실하게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지만, 파일 히스토리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5.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 활용

위 방법으로도 복구되지 않는다면, 전문적인 데이터 복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추천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

  • Recuva: 손쉽게 삭제된 엑셀 파일을 복구 가능
  • EaseUS Data Recovery: 강력한 복구 기능 제공
  • Wondershare Recoverit: 높은 성공률을 자랑하는 복구 프로그램

이러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손실된 파일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단,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전에 손실된 파일이 있는 드라이브에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6. 향후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팁

엑셀 파일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긴 하지만, 작업 내용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파일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

  • 자동 복구 기능 활성화 및 저장 간격 조정 (1~2분 설정 권장)
  • OneDrive 또는 Google Drive를 활용하여 자동 백업 설정
  • 작업 후 반드시 Ctrl + S(저장 단축키) 사용 습관화
  • 엑셀 파일 저장 시 "자동 백업" 기능 활성화

 

결론

엑셀에서 실수로 저장하지 않고 파일을 닫았을 때 복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1. 엑셀 자동 복구 기능 활용
  2. 자동 복구 폴더에서 직접 찾기
  3. 임시 파일을 이용한 복원
  4. 이전 버전 복원을 활용
  5.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 이용

위 방법을 차례로 시도하면 대부분의 경우 손실된 엑셀 파일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일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 저장 간격을 조정하고, 클라우드 저장소를 적극 활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제 더 이상 엑셀 파일을 실수로 닫아도 걱정하지 마세요! 😊

반응형